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 사회 및 성격발달: 애착과 사회성 발달

by 무뭉이 2023. 1. 5.
반응형

1. 유아 애착 행동의 초기 표현 

유아가 자신의 양육자에게 분명한 애착을 보이는 것은 대략 7, 8개월경부터 나타난다. 혼자 있게 되거나 낯선 사람을 접할 때, 무섭거나 기분이 나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두려워하거나 우는 행동을 보이게 된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이런 행동은 유아가 기기 시작하는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인지발달의 측면에서 보면, 애착 행동의 출현은 유아가 세상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키는 것, 특히 친숙하고 안전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관점을 지지하는 실험이 친숙하지 않은 상황에 있을 때 유아가 보여 주는 불안의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친숙한 곳에서보다 친숙하지 않은 곳에 있을 때, 유아가 엄마와 떨어졌을 때 더 높은 수준의 불안과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을 보여 주었다.

2. 낯선 상황: 애착 행동의 측정

 애착 행동을 객관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우리는 이것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 방법이 에인스워스에 의해 개발된 '낯선 상황 검사'다. 이 검사는 유아를 친숙하지 않은 상황에 두고 미리 계획된 방식으로 엄마나 다른 친숙한 보호자가 같이 있거나 없거나 하면서, 낯선 사람이 들어왔을 때와 나갔을 때, 유아가 보이는 불안 행동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런 검사를 통해, 에인스위스와 그의 동료는 '안정적으로 애착된 행동'이라고 분류된 반응을 보이는 유아를 구분하였다.
안정적으로 애착된 아동들은 낯선 상황에서도 엄마가 같이 있을 때는 활달하게 놀았으며,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엄마가 없거나 낯선 사람과 같이 있을 때는 약간 놀라면서 탐색하는 것이 줄었다. 그러나 엄마가 다시 돌아왔을 때는 적극적으로 엄마에게 접근하여 접촉하려고 하였다. '안정적으로 애착되지 못한 분류된 유아의 행동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차이가 났다. 이들은 비록 엄마가 같이 있더라도 낯선 상황에서 더 놀랐으며, 엄마가 돌아왔을 때, 적극적으로 접촉하려고 하지도 않았고, 심지어 거부하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여러 가지 의문과 반박에도 불구하고, 유아와 엄마와의 상호 관계에 대한 장기 종단적 연구에서 에인스워스와 그의 동료는 유아가 울 때마다 즉각적으로, 그리고 일관되게 잘 달래 주는 엄마의 유아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점 우는 것이 줄어들 뿐 아니라, 낯선 상황에서 측정된 어머니의 애착 반응도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른 연구들도 어린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즉각적인 반응이나 민감성과 나중의 안정적인 애착의 정도 사이에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3.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 발달이론은 정신분석적 모형에서 발전된 것으로, 이 이론은 전 생애를 통한 발달이라는 점과 자아를 성격의 중심적 구조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프로이트와 확연히 구분된다.
따라서 에릭슨의 이론을 소개하는 데는 프로이트와 견주어 비교해 나가는 것이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의사로서 환자를 치료하면서 심리분석을 한 프로이트와는 달리, 에릭슨은 건강한 어린이를 가르치며, 그들의 자연스러운 놀이에서 그 이유를 찾고 삶의 투쟁을 알아내려고 하였다. 그는 개인과 그의 가족의 일상적인 삶과 주어진 역사적, 문화적 상황을 관련지어 임상 활동에서의 자료를 분석해 나갔다. 프로이트가 삶의 원동력을 원초아로 보는 데 비해, 에릭슨은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생물학적인 힘보다는 인간관계에서의 경험이 자아의 기능을 요구하고 있으며, 자아는 사회화 과정, 사회와의 관련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을 제대로 파악한다는 것은 개인과 사회와 시간성의 관계를 이해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 프로이트와 에린슨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이다.
에릭슨에 따르면, 발달이란 개인의 심리적 발달과 개인이 만든 사회적 관계들이 병행하여 성장해 나가는 이중적 과정이다. 그러한 심리·사회적 발달은 8단계로 구분되는데, 단계마다 개인의 생리적 성숙과 더불어 개인에게 부과된 사회적 요구가 따르고, 이 요구는 하나의 위기로서 이것의 해결 여부가 개인에게 인생의 전환점이 된다. 그들이 새로운 경험을 성공적으로 극복하면 더 성숙하게 되고, 성격 또한 보다 원숙하게 된다. 반면에 그들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성장은 왜곡되는 것이다.
에릭슨의 성격 발달이론은 개인과 사회의 역할을 동등하게 주요시하였다. 즉, 성격 발달을 단순히 초기 아동기의 조절과 갈등으로부터 계속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성인기 이후까지 계속되는 발달과업의 해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면서 성격의 점진적인 발달을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에릭슨은 프로이트가 관심을 갖지 않은 청소년기를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시기로 보았다.

4. 자아의 표현과 자아정체성 

자아 정체감이란 무엇인가? 에릭슨은 개인의 정체감을 객관적인 측면과 주관적인 측면으로 구분하고 있다. 즉, 그는 정체감을 객관적인 측면인 심리·사회적 정체감과 주관적인 측면인 개별적 정체감으로 구별하고 있다. 여기서 심리·사회적 정체감이란 개인이 속하고 있는 집단에 대한 귀속감 또는 일체감을 의미한다. 즉, '나는 한국 사람이다. 같은 민족적, 국가적 주체 의식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또는 '나는 ㅇㅇ대학의 학생이다. 같이 집단의식으로 나타나기도 하는 집단적 정체 의식이다. 그리고 개별적 정체감이란 이러한 집단적인 정체 의식 속에서도 개인이 자신은 타인과 다른 고유한 존재라는 의식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별적 정체감은 개인적 정체감과 자아 정체감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서 개인적 정체감이란 시간이 흐르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자기 자신이 동일한 존재라는 자기 동질성과 자기 연속성에 대한 자각이다. 즉, 상황이 바뀌고 시간이 지나도 항상 '나는 김복동이다. 자기 존재에 대한 인식이다. 이러한 자기의식은 우리에게 안정감의 근원이 된다.
이에 비해 자아 정체감은 보다 넓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우리는 자기 동질성과 자기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새롭게 부딪히는 내적 충동이나 욕구들, 외적인 자극들 그리고 도덕적 가치들을 수용하여 자기 나름의 독특한 방식으로 자신을 재통합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자신이 타인과 구별되는 고유한 존재라는 전체감 내지는 통합 감을 갖게 된다. 즉, 우리가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다양한 충동과 욕구, 능력, 역할, 가치 등을 통합하여 추출한 통합된 자기 구조 내지는 자기 참 조적 심상들을 자아 정체감이라고 한다.
이러한 자아 정체감은 개인을 과거에서 현재와 미래로 연결해 주는 연속성 내지는 동질성을 내포하고 있는 동시에 가인을 타인과 구별해 주는 독특성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강한 자아 정체감을 소유한 자는 타인과 다른 여러 가지 개인적 특성을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그런 특성을 조화롭게 통합해 나가려는 의지와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는 시간의 흐름과 경험의 변화 속에서도 자기 지각의 일관성을 지닐 수 있다. 즉, 방황과 탐색 속에서 '나는 이런 사람이다. 같은 강한 정체감을 형성함으로써 자신의 연속성과 독특성을 고양해 나아가는 것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아의 자질이 된다.

 

[출처] 현대심리학의 이해 

반응형

댓글